해월 최시형 사상

Corporation Introduction


최시형은 사람이 하늘, 사람, 만물

이 세가지를 공경해야한다는 삼경사상(三敬思想)을 전하였다.


삼경사상(三敬思想)


최시형이 사람이 공경해야 할 세 가지로 

하늘, 사람, 만물(물건)을 제시한 천도교 교리. 

사람이 공경해야 할 세 가지로 

하늘 공경, 

사람 공경, 

만물(물건) 공경을 뜻한다.


하늘 공경
사람 공경
만물 공경
연원 및 변천

최시형(崔時亨, 1827~1898)은 스승인 최제우로부터 시천주(侍天主)의 가르침을 받고, 

깊은 수련을 통해 우주적 본체를 깨닫게 된다. 


그가 깨달은 우주는 ‘한 기운 덩어리, 또는 한 기운 울타리’임을 깊이 터득한 것이다. 

이러한 깨달음에 따라 ‘하늘은 하늘로써 먹는다’는 이천식천(以天食天)으로 생명의 공생과 순환의 이치를 설명하고, 

이어 하늘공경, 사람공경, 만물(또는 물건)공경이라는 ‘삼경’사상으로 생명의 본질과 근원이 동일한 존재임을 인식한다. 


이러한 삼경사상은 동학의 수련에서 중요시하는 성경신(誠敬信)의 경(敬)과 일맥상통한 면이 있다.


내 용

최시형은 법설에서

“사람은 첫째로 경천(敬天)을 하지 아니치 못할지니, 이것이 신사의 창명하신 도법(道法)이라. 

경천의 원리를 모르는 사람은 진리를 사랑할 줄 모르는 사람이니, 

왜 그러냐 하면 한울은 진리의 충(衷)을 잡은 것이므로써이다.”라 하여 

사람이 하늘을 공경할 때, 자기의 영원한 생명을 알게 된다고 하였다. 


이어 

“둘째는 경인(敬人)이니 경천은 경인의 행위에 의지하여 사실로 그 효과가 나타나는 것이다.”라고 하여 

경천만 있고 경인이 없으면 종자를 땅에 뿌리지 않는 행위와 같다고 지적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셋째는 경물(敬物)이니 사람은 사람을 공경함으로써 도덕의 극치가 되지 못하고, 

나아가 물(物)을 공경함에까지 이르러야 천지기화(天地氣化)의 덕에 합일될 수 있다.”라고 하여 

우주는 ‘한생명’이라는 우주 합일의 궁극적인 경계를 설명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동학은 최제우의 시천주를 사상적 근원으로 삼고, 

최시형의 삼경사상에 이르러 생명관의 내용이 구체적으로 확립되는 계기가 된다. 



상대에 대한 섬김을 통해 만유의 공생과 순환, 

나아가 상생과 조화의 삶을 이루는 것이 바로 동학이 지향하는 우주적 삶의 모습이다. 

하지만 현실에서 당하는 부조화와 차등 속에서 

삼경사상은 인간과 인간, 인간과 자연, 인간과 신이 서로 겪고 있는 갈등을 

새로운 차원의 삶으로 이끌 수 있는 영성적(靈性的) 동력이 되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오늘날의 생명 운동, 여성운동, 어린이 운동, 그리고 환경운동에는 공통점이 있다. 그 기반에 동학사상이 떠받치고 있다는 것이다. 



동학은 1894년 전봉준을 중심으로 한 농민혁명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농민혁명을 있게 한 것은, 생명 사상을 근간으로 한 동학의 통합적인 철학사상이었다. 

동학의 1세 교조인 수운 최제우가 동학의 사상을 정립하고, 

2세 교조인 해월 최시형이 그 사상과 철학을‘ 사인여천(事人如天)’이라는 네 글자로 집대성했다.

 

사인여천이란 “세상의 모든 사람, 천한 사람이나 귀한 사람 모두 하늘 같이 대해야 한다”는 뜻으로, 

동학이 인간의 평등함, 자연의 소중함을 철학의 뿌리로 삼았다는 것을 잘 대변하는 대목이다.

 

해월 최시형은 이미 100년 전, 인간 이하의 대접을 받던 여성을 ‘하늘님’이라고 높여주었고, 

어린아이를 때리지 말라면서 어린아이가 상하면 하늘이 상한다며 ‘어린이 사랑’을 역설했다. 


또한‘땅에도 하늘이 담겨 있고 우리가 먹는 밥 한 그릇에는 모든 생명이 담겨 있다’라며 생태와 생명의 소중함을 일깨웠다. 


100년 전 가르침이라고 하기엔 놀라운 통찰과 철학적 경지가 아닐 수 없다. 

그의 사상은 신만을 공경하는 여타의 종교 사상을 넘어

 “사람과 자연을 아끼고 만물을 공경”하는 삼경사상으로 일체화되기에 이른다.

장일순의 한살림공동체, 김지하의 생명주의, 소파 방정환의 어린이날 제정 

해월 최시형의 동학사상에서 영향받아 한국 생명 운동의 효시이자 

한살림공동체의 설립자인 무위당 장일순이 해월 최시형의 동학사상을 모델로 했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그뿐 아니라 소파 방정환이 1923년 세계 최초로‘ 어린이 선언’과‘ 어린이날’을 제정할 수 있던 것이나, 

김지하 시인의‘ 생명주의’ 철학 역시 해월 최시형이 정립한 동학사상에서 그 영향을 받았다.

 

동학사상을 오늘날까지 이르게 한 해월 최시형은 동학의 2세 교조로서, 

관군의 추적을 피해 무려 35년간이나 은둔생활을 하며 동학사상을 체계화하고 전파했으며, 

결국 ‘좌도난정’의 죄를 물어 교수형에 처하게 된다. 

동학이 인간의 평등과 만물의 소중함을 중요한 교리로 삼았기 때문에 성리학을 기반으로 한 

조선의 봉건 체제에 대립될 수밖에 없었다. 


동학을 창시한 최제우뿐 아니라, 해월 최시형 역시 관군으로부터 인정받지 못하고 탄압의 대상이 되었던 것은 당연했다.


 

동학사상은 모든 가치의 최우선으로 ‘생명’을 이야기했다. 

여전히 핵전쟁의 위기에서 안전할 수 없는 한반도 안보 위기와 

지구온난화에 따른 환경의 파괴 문제 등은 모두 이 땅의 생명체를 파멸시키는 위험 요소다. 

해월 최시형은 이미 100년 전 자연과 환경 생태의 소중함을 강조했다.


“풀 한 포기 나무 한 그루라도 무고히 해치지 말라. 만물을 소중히 여기지 못하는 자는 사람을 존중하지 못한 것과 같다.”


오늘날 해월 최시형의 사상은 우리가 직면한 기후변화의 위기에 소중한 가르침이 되고 있다.



참고문헌

『천도교경전』(천도교중앙총부, 1969년)

「해월의 삼경사상에 나타난 공공철학의 정신」(김용환,『 동학학보』제24호, 2012)

「동학의 개벽사상 연구」(윤석산,『 한국언어문화』42, 2010)

TEL. 054-285-6678 | FAX.054-586-6678

E-MAIL. mndw12@hanmail.net

주소 : 경북 포항시 남구 중앙로91번길 8-1 3층


© 2023 사단법인 동대해문화연구소All Rights Reserved.


Tel. 054-285-6678 | Fax. 054-286-6678 | mndw12@hanmail.net
주소 : 경북 포항시 남구 중앙로 91번길 8-1 3층 

© 2023 사단법인 동대해문화연구소. All Rights Reserved.